본문 바로가기

2025년 7월 미국 증시 하락, 연준 금리 동결과 파월 발언 정리

MoneyBlock 2025. 7. 31.
반응형

2025년 7월 30일 미국 증시 요약: 연준 금리 동결 후 하락, 무역 협상은 훈풍

미국 증시 요약

"파월의 입은 닫혔고, 시장은 경계심을 되살렸다"는

말처럼 오늘 시장은 희망보다 현실을 마주했습니다.
오랜만에 맞이한 장기 고용 호조와 GDP 성장에도 불구하고,

연준의 9월 금리 인하 기대감이 꺾이며 투자 심리에 찬물을 끼얹었습니다.
저는 오늘 장을 지켜보며 다시 한 번 "데이터가 왕이다"라는 말을 실감했네요.

특히 미국과 한국의 무역 협상 결과는 앞으로 우리 시장에도 큰 영향을 줄 듯합니다.

📌 목차

  1. 연준의 금리 동결과 파월 발언의 파장
  2. 미국 경제지표: 고용 증가와 GDP 성장
  3. 시장 반응과 기술주의 시간 외 반등
  4. 미국-한국 무역 협상 타결, 주요 내용은?
  5. 중국, 엔비디아 H20 칩 보안 문제 제기
  6. 피그마 IPO, 공모가 33달러로 확정

연준의 금리 동결과 파월 발언의 파장

연준의 금리 동결

2025년 7월 FOMC는 기준금리를 4.50%로 동결했습니다.

그러나 단순한 동결 이상의 메시지가 있었습니다.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와 미셸 보우먼부의장이 25bp 인하를 주장하며 반대표를 던졌고,

이는 내부 의견 불일치가 드러난 첫 순간이었습니다.

그러나 시장 분위기를 뒤바꾼 결정적 장면은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이었습니다.

그는 “9월 완화 결정은 내려지지 않았다”며 시장의 기대를 일축했고,

노동 시장의 강세와 인플레이션의 완고함을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금리 인하 기대를 뒤집으며 채권금리 상승과 주가 하락을 동시에 유발했습니다.

미국 경제지표: 고용 증가와 GDP 성장

미국 경제지표 현황

7월 ADP 고용 데이터는 예상보다 많은 104K 증가로 집계됐지만,

이는 과열을 걱정할 수준은 아니었습니다.

2분기 실질 GDP는 연율 3.0%로 예상(2.6%)을 상회했지만,

상반기 전체로는 1.25%에 그쳐 성장 둔화 우려가 남아 있습니다.
실질 개인소비지출(PCE)은 2.5% 증가하며 탄탄한 소비 기반을 보여주었고,

이는 연준이 쉽게 금리를 내리지 못하는 배경이기도 합니다.

반응형
지표 발표치 예상치 이전치
ADP 고용자수 (7월) 104K 76K -33K
실질 GDP (2분기) 3.0% 2.6% -0.5%
실질 개인소비지출 2.5% 2.3% 3.5%

시장 반응과 기술주의 시간 외 반등

시장 반응과 기술주 반등

FOMC 이후 증시는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였으며,

특히 금리 인하 기대가 꺾이면서 단기 국채 금리가 7bp나 상승했습니다.

다우는 0.38% 하락, S&P500은 0.12% 하락했으나,

나스닥100은 0.16% 상승 마감했습니다.

이유는 장 마감 이후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의 실적 발표 때문입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부문 매출 기대치 상회, AI 투자 효과 본격화
  • 메타: 광고 수익 개선 및 사용자 수 증가로 예상치 상회 실적
  • 구리: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면제로 가격 하락

미국-한국 무역 협상 타결, 주요 내용은?

미국-한국 무역 협상 타결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 '완전하고 포괄적인 무역 협정'에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합의는 대미 관세 유예 마감일을 하루 앞두고 전격적으로 타결되었으며,

양국 간 무역 관계에 큰 전환점을 예고합니다.

가장 주목할 점은 한국의 대미 관세가 25%에서 15%로 인하되고,

그 대가로 한국은 3,5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중심 투자펀드 조성에 동의했다는 점입니다.

해당 펀드는 주로 미국 에너지·조선업 중심이며, 수익의 90%는 미국 측에 귀속됩니다.

협상 항목 내용
관세 대미 관세 25% → 15% 인하
투자 3,500억 달러 규모 펀드 조성 (90% 수익 미국 귀속)
에너지 수입 향후 3년 반간 1,000억 달러 규모 LNG 등 구매
농산물 개방 쌀·소고기 등 민감 품목 개방 제외 (트럼프는 포함 언급)

중국, 엔비디아 H20 칩 보안 문제 제기

H20칩 문제 제기

중국 당국은 엔비디아의 H20 칩이 위치 추적, 원격 종료 기능

보안 취약점을 가졌다고 주장하며,

엔비디아를 공식 소환했습니다.

해당 칩은 원래 미국의 대중국 수출 통제 규제를 우회하기 위해

성능을 낮춘 ‘중국 특화형’ 제품이라는 점에서

이번 조치는 예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이번 사안은 미·중 기술 냉전이 재점화될 수 있는 변수로,

엔비디아의 중국 매출과 AI 공급망에 중대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중국 인터넷정보판공실, 보안 보고서 요구
  • H20 칩은 미국의 AI 칩 수출 규제 회피용으로 개발된 제품
  • 미중 관계 개선 국면에서의 충격으로 해석

피그마 IPO, 공모가 33달러로 확정

피그마 IPO

디자인 협업 플랫폼 피그마(Figma)가 공모가 33달러로 상장을 확정 지었습니다.

전산 처리 이후 8월 1일 새벽 중 첫 거래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애초 희망 밴드(29~34달러) 상단에 가까운 수준으로,

투자자들의 높은 수요를 반영한 결과입니다.

  • 피그마는 어도비의 인수 시도 무산 이후 IPO 강행
  • SaaS 성장주로 시장의 높은 관심
  • 첫 거래 시 시총 약 100억 달러 예상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왜 연준은 금리 인하를 미루는 것인가요?

연준은 여전히 견고한 노동 시장과 목표치를 상회하는 인플레이션을 이유로

들어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파월 의장은 9월 완화 여부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명확히 선을 그었습니다.

Q2. 메타와 마이크로소프트 실적은 어떤 부분이 좋았나요?

마이크로소프트는 클라우드 사업 성장과 AI 부문 확장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보였고,

메타는 광고 수익과 사용자 수 증가에서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결과를 냈습니다.

Q3. 한국과 미국의 무역 협상은 어떤 영향을 줄까요?

한국 기업에게는 관세 부담 완화라는 긍정적 효과가 있으나,

대미 투자의무 및 에너지 구매 약속은 재정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농산물 시장 개방 여부에 따라 국내 정치적 논란도 예상됩니다.

Q4. 엔비디아 H20 칩 보안 이슈는 주가에 영향이 있을까요?

H20 칩은 중국 수출을 위한 전략 제품이기 때문에,

중국의 제재가 현실화되면 단기적으로 매출에 타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글로벌 수요가 탄탄하기에 장기 충격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Q5. 9월 또는 10월에 금리 인하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나요?

현재로선 확률이 낮아졌지만, 향후 발표될 고용 및 물가 지표에서

약화 신호가 나타나면 다시 기대가 살아날 수 있습니다.

특히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이 제한적일 경우,

인하 명분이 생길 수 있습니다.

Q6. 피그마 IPO는 투자자에게 어떤 의미가 있나요?

SaaS 성장주에 대한 시장의 수요를 확인한 사례로,

기술 중심의 IPO 시장이 재개되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다만 상장 후 초기 변동성은 클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핵심

연준의 한마디에 흔들리는 시장,

그리고 그 속에서 살아 움직이는 투자자들의 심리는 언제나 예민합니다.

이번 FOMC를 통해 우리는 데이터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금 체감했습니다.

무역 협상, 기술주 실적, IPO 소식까지 복합적인 변수 속에서도

결국 투자 판단은 '정보 해석력'에 달려 있음을 느낍니다.

여러분은 이번 금리 동결과 무역 협상 발표를 어떻게 보셨나요?

댓글로 여러분의 생각을 나눠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구독도 부탁드립니다 😊

 

< 관련 인사이트 > 

2025.07.27 - [해외주식 소식] - 매주 배당? 수익률은 글쎄… 울티(ULTI) vs JEPQ 인컴형 ETF 완전 비교

 

매주 배당? 수익률은 글쎄… 울티(ULTI) vs JEPQ 인컴형 ETF 완전 비교

매주 배당? 수익률은 글쎄… 울티(ULTI) vs JEPQ 인컴형 ETF 완전 비교투자하면서 매주 배당이 들어온다면 얼마나 기분 좋을까요?사실 저도 한때 "매주 배당 ETF"라는 말에 혹해 울티(ULTI)에 관심을 가

moneyblockblog.com

이더리움 급등 배경과 알트코인 시즌 신호 분석

 

이더리움 급등 배경과 알트코인 시즌 신호 분석

이더리움 급등 배경과 알트코인 시즌 신호 분석 비트코인은 잠잠한데, 이더리움이 무려 65%나 급등했다면? 그게 우연일 리가 없죠. 지금 이 흐름, 단순한 반등일까요, 아니면 알트코인 시즌의 본

moneyblocksignal.com

 

 

반응형

댓글